경기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삼성삼거리 인근에 2028년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가 들어서며 빅테크 산업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사진은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모델하우스 내 관람객들 모습. /사진=이화랑 기자
황배현 기세 대표는 지난 15일 오전 경기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삼성삼거리 인근에 위치한 지식산업센터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모델하우스에서 이 같이 설명했다. 로비의 층고는 일반 건물의 2층 정도 높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주도한 700조원 규모 '용인 반도체 메가클러스터'의 한복판에 들어서는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는 지난 7일 분양을 시작해 4년 뒤인 2028년 용인에 조성된다. 평일 오전임에도 모델하우스 안은 예비 투자자들로 북적였다.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의 연면적은 잠실올림픽주경기장(연면적 11만1792㎡)의 3배인 약 35만여㎡에 달한다. 지하 6층~지상 33층, 5개 동으로 조성되며 총 사업비가 2조원에 달한다. 국내 시공능력 4위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하며 공사비는 6500억원으로 추산된다.
경기 용인에 잠실올림픽주경기장 3배에 달하는 오피스가 지어진다. 사진은 이날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모델하우스 내 입체모형을 2층에서 바라본 모습. /사진=이화랑 기자
━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보다 큰 연면적━
경기 용인 삼성디지털시티 1㎞ 반경 이내에 대규모 지식산업센터가 생긴다. 사진은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모델하우스 내부 안내판 모습. /사진=이화랑 기자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는 글로벌 반도체 클러스터 입지에 위치해 더욱 주목된다. 황 대표는 "서울·경기를 통틀어 만 2년 만에 공급되는 대형 지식산업센터로 1㎞ 거리에 산업의 메카 삼성디지털시티가 있다"고 설명했다.
2029년 12월 개통 예정인 인덕원-동탄 복선전철의 원천역(가칭)과 흥덕역(가칭)이 인접해 출·퇴근도 더욱 편리해진다. 법정 기준의 2배를 초과하는 총 2556대의 주차 공간을 확보했다. 총 45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출·퇴근시 혼잡을 최소화했다. 개별 냉·난방 시스템을 도입해 야간과 주말에 쾌적한 사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모델하우스 부지는 용인시에 기부채납해 관공서가 들어서게 된다.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에서 행정·은행 업무 등 많은 서비스를 한번에 해결 가능하도록 만든다는 계획이다.
경기 용인에 지어지는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가 분양하고 있다. 사진은 이날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모델하우스 내 가상 오피스 모습. /사진=이화랑 기자
황 대표는 "1층에 조성되는 상업시설이 전체 연면적의 1.7%(전용 2645㎡)로 입점 업체에 메리트가 있다"고 말했다. 전체 연면적의 5% 이상이 되면 입점 업체간 경쟁으로 메리트가 줄어든다는 설명이다.
시행사 측은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가 제2의 구로디지털단지(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황 대표는 "게임사 '넷마블'이 구로에서 성장했다"며 "구로산단이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연면적 비율) 400%의 고밀 개발을 통해 현재 강남 테헤란로보다 인구밀도가 높은데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가 젊은 인구를 유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