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공사 임원추천위원회는 지난 9일 신임 최고경영자(CEO) 임용을 위한 모집 공고를 게시하고 공개채용 절차를 시작했다. 사진은 김헌동 SH공사 전 사장이 지난 6월 서울 강남구 SH공사에서 분양가 관련 기자설명회를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18일 SH공사에 따르면 임원추천위원회는 지난 9일 신임 사장 임용을 위한 모집 공고를 게시하고 공개채용 절차를 시작했다. 이달 25일까지 공모를 진행해 다음 달 2일 후보자 면접 심사를 할 예정이다. 신임 사장 선임 절차에는 2개월가량이 소요된다.
앞서 2021년 11월15일 취임해 3년 임기를 완료한 김 전 사장은 지난 14일 퇴임식을 열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1일 김 전 사장의 직무대행자로 심우섭 SH공사 기획경영본부장을 지정했다. 사장 공백에 따른 업무 마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현재까지 유력 후보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내년 2월 임기 만료를 앞둔 유창수 서울시 행정2부시장을 비롯해 이광석 전 정책특보, 여권 주요 인사들이 후보로 거론된 바 있으나 현재로선 가능성이 작다는 관측이다.
최근에는 서울시 전·현직 간부의 지명 가능성이 제기된다. SH공사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등 서울시 역점 정책사업인 '미리내집'(신혼부부 장기전세) 공급과 리버버스·서울 대관람차 등 굵직한 개발사업을 맡게 된다. 차질 없는 정책 실행을 위해 오 시장의 신임을 얻는 인물이 후임을 이을 것이란 분석이다.
공모 과정이 예기치 않게 지연되면 수장 공백 기간이 더 길어질 우려도 있다. 2021년에도 SH사장 공모가 세 번이나 반복해서 이뤄진 바 있다. 1·2차 공모는 후보 자진 사퇴, 부적격 판정 등으로 무산됐다. 3차 공모 결과 오 시장의 임명 강행으로 김 전 사장이 사장직에 올랐다.
SH공사 관계자는 "사장 임명에 관한 결정 주체는 별도로 마련된 임원추천위원회로 세부 일정에 대해선 조율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