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들의 자사주 매입이 눈길을 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삼성전자가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며 눈길을 끄는 가운데 상장사의 적극적 자사주 매입이 눈길을 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미국 '블랙먼데이' 사태로 급락세가 나타났던 지난 8월 초 이후 이달 15일까지 국내 상장사(코스피·코스닥) 중 자사주 매입 공시를 낸 기업은 72개사로 집계됐다.

통상 경영진의 자사주 매입은 회사가 보유한 현금을 활용해 주식시장에서 자기회사 주식을 사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자사주 매입의 주요 효과 중 하나는 주식의 수를 줄임으로써 주당 순이익(EPS)을 높이는 것이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기업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주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또 주식의 유동성을 줄여 시장의 변동성을 낮추고 주가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8월 초 이후 자사주 매입 공시를 낸 코스피 기업들의 상승률을 살펴보면 키움증권의 자사수 매입 공시 발표 이후 일주일간 9.1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증권도 9.10%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밖에도 NHN(10.53%) , LF(5.34%), DB금융투자(6.21%) 등 모두 높게는 두자릿수 이상의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모든 자사주 매입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자사주 매입이 기업의 장기 성장을 위한 투자보다는 단기적 주가 상승에 초점이 맞춰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자사주 매입이 기업의 재무 구조를 약화시키는 경우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에 따라 자사주 매입이 아니라 소각까지 예고 및 완료하는 것이 진정한 주주환원 정책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자사주 매입 이후 소각까지 이뤄져야 회사 발행주식 총수 자체가 줄어들면서 주당 순이익(EPS)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자사주 소각에 대한 상장사들의 움직임은 자사주 매입보다 저조한 상황이다. 같은 기간 상장사들이 발표한 자사주 소각 공시 건수는 3건에 그친다.

전문가들은 국내 상장사들의 자사주 매입은 선진국 대비 소극적이라고 지적한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국내 기업의 발행 주식 수 대비 보유 자사주 비율은 3%로, 2018년 2.7%를 저점으로 상승했지만 KRX100 기업 중 자사주 매입을 공시한 기업 수 비율은 지난해 19%, 올해 5월 기준 12%에 불과해 다른 선진국 증시에 한참 못 미친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 상장사의 유동주식수는 2010년 대비 현재 87%나 급증했다. 같은 기간 기업의 순이익은 54% 증가했지만, EPS는 35% 증가에 그쳤다"면서 "자사주 매입 여부도 중요하지만, 소각 여부도 주주환원이익 측면에서는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