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시금치(자료사진) 사진제공=뉴스1
친환경인증 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유기농산물'과 유기합성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성분량의 3분의 1 이내 사용해 재배한 '무농약농산물'로 구분한다.
검사 결과 시금치, 깻잎, 대파, 배추, 무, 토마토 등 유기농 40건과 무농약 74건 친환경인증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11월11일부터 지난 6일까지 한 달간 진행한 검사는 백화점, 중대형 마트 등 도내 유통기업 14곳에서 집중 수거한 친환경 인증 농산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연구원은 '농산물 안심지킴이' 사업에 따라 연중 테마별로 농산물을 직접 수거해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친환경인증 농산물은 도민의 건강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도 기여하는 농산물"이라며 "앞으로도 소비자가 믿고 소비할 수 있도록 안전성 검사를 지속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