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주목된다. 사진은 한미약품 본사. /사진=한미약품
1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에 따르면 한미약품의 2024년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173억원, 570억원으로 예상된다. 전년도 4분기보다 매출은 1.2%, 영업이익은 18.7% 줄어든 규모다. 한미약품은 2023년 4분기 매출 4224억원, 영업이익 701억원을 거둔 바 있다.
2023년 4분기 이뤄졌던 대규모 마일스톤 유입이 기저 효과를 일으키면서 지난해 4분기 상대적으로 역성장하게 됐다는 게 증권가 분석이다. 한미약품은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 'MK-6024' 임상2b상 진입에 따라 2023년 4분기 MSD로부터 180억원 규모의 마일스톤을 받았다. 지난해 4분기에는 눈에 띄는 마일스톤 유입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한미약품의 기술료 및 기타 수입이 50억~60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약품 실적 추이. /그래픽=김은옥 기자
한미약품은 실적 악화를 이겨내기 위해 올해 경영진 역량을 모으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약품그룹 대주주 4자 연합(신동국·송영숙·임주현·라데팡스) 측과 오너 일가 형제(임종윤·종훈) 측의 경영권 분쟁을 마무리 짓고 회사를 정상화는 게 핵심이다.
업계는 오는 3월 정기 주주총회를 기점으로 4자 연합 측과 형제 측의 경영권 분쟁이 종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형제 일원인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이사가 4자 연합과 힘을 합치기로 마음을 바꾸면서다. 임 이사 변심으로 4자 연합은 한미사이언스 지분 과반(54.42%)을 확보하고 이사회 수적 우위도 점하게 됐다.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사실상 회사 지배력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임 이사와 4자 연합은 지난해 말 입장문을 통해 "모든 갈등과 반목은 접고 한미의 발전만을 위해 마음을 하나로 모으겠다"며 "전문경영인 체제를 탄탄히 구축하고 정도 경영과 기업가치 제고를 통해 주주들께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