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인천 상상플랫폼에서 BYD 승용 브랜드 국내 공식 출범을 알리는 미디어 쇼케이스를 진행했다. /사진=김서연 기자
중국 최대 전기차업체 BYD 한국 자동차 시장에 출사표롤 던졌다, 출범과 동시에 200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는 전기차를 선보인다. 일본, 유럽 등 다른 진출 국가보다도 저렴한 수준이다. 한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를 보겠다는 것이다.
BYD코리아는 16일 인천 상상플랫폼에서 BYD 승용 브랜드 국내 공식 출범을 알리는 미디어 쇼케이스를 진행했다. BYD 승용 브랜드와 출시 모델 소개, 국내 서비스·판매 조직에 대한 설명과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BYD가 한국에 첫 선을 보이는 자동차는 전기 준중형 SUV 아토3(ATTO3)다. 아토3에 이어 올해 내로 퍼포먼스 중형 전기 세단 BYD '씰', 중형 전기 SUV BYD '씨라이언 7' 등 총 3종을 출시할 계획이다.


아토3는 2022년 출시 이래 5대륙 72개 국가에서 100만대 이상 판매된 BYD의 베스트셀링 모델이다. 드래곤페이스 3.0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전장 4455 전폭 1875 전고 1615의 5인승 모델이다.

NCM 배터리보다 가격, 안전성이 뛰어난 자체 인산철(LFP) 배터리인 '블레이드 배터리'가 탑재됐다. 배터리용량은 60.48kWh, 최고출력은 150kW다. 충전시간은 20%에서 80%까지 30분 정도 소요된다.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상온 복합 기준 321㎞(도심 349㎞·고속도로 287㎞)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인증받았다. 저온에서는 309㎞(도심 306㎞·고속도로 311㎞)다.

블레이드 배터리는 모듈과 팩을 생략한 '셀투바디' 방식으로 구성된다. 모듈과 팩이 없기 때문에 더 많은 배터리를 실을 수 있어 주행거리가 길다. LFP 배터리의 한계로 지적되는 낮은 에너지 밀도를 약 50% 보완했다. 8개 모드를 통합한 e-플랫폼 3.0으로 경랑화를 추구했다.


아토3의 가격은 기본트림 3150만원, 상위트림 3333만원로 책정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면 소비자의 실제 구매가격은 2000만원 후반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진출한 일본에서 아토3의 판매 가격(3900만원) 대비 17~23.8% 저렴하다. 기본트림은 당초 예상됐던 3190만원보다 40만원 낮다.

기본 차량 보증 6년 또는 15만km이며 고전압 배터리 보증은 8년 또는 16만km다. 고전압 배터리 용량 보증은 70%다. 아울러 무상점검 4회를 실시하며, 긴급출동 무상견인서비스는 업계 최장 수준인 6년이다. 2월 중순부터 고객 인도가 이뤄질 예정이다.

아토3는 2022년 출시 이래 5대륙 72개 국가에서 100만대 이상 판매된 BYD의 베스트셀링 모델이다. /사진=김서연 기자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BYD는 전국 6개 권역 12개 전시장과 15개 서비스센터를 운영한다. 딜러 파트너사로 DT네트웍스, 삼천리이브이, 하모니오토모빌, 비전모빌리티, 지엔비모빌리티, 에스에스모터스 등 6개사를 선정했다.
류쉐량 BYD 아시아 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는 "오늘 신에너지차를 한국에 가져오는 꿈을 이뤘다"며 "BYD에게 한국은 매우 가까운 시장"이라며 한국과의 인연을 강조했다. BYD는 2016년 인천에 한국지사를 설립해 순수전기버스 1000여대를 인도한 바 있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부문 대표는 "한국시장이라는 중요한 무대에 공식적으로 데뷔했다"며 "높은 기대 수준에 부응할 수 있는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신중하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