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운전자와 뒷좌석 탑승객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인캐빈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했다. /사진=김서연 기자
현대모비스가 운전자와 뒷좌석 탑승객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인캐빈 모니터링 시스템'(In-Cabin Monitoring System, ICM)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졸음운전, 휴대전화 사용, 안전벨트 미착용 등 다양한 부주의 상황을 감지하고 경고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은 차량 내부의 카메라와 이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카메라는 탑승객의 자세, 위치, 생체신호를 감지하며, 소프트웨어는 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시각 및 청각 경고를 통해 운전자나 탑승객에게 즉각적인 알림을 제공한다. 운전자가 졸음운전으로 눈을 감거나 고개를 떨구는 경우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띄우고 환기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뒷좌석 유아동 카시트 착용 여부와 어린이 방치 상황까지 감지해 경고한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로 유럽 차량 소프트웨어 표준 ASPICE 인증을 획득하고 유럽 NCAP 안전 평가 기준을 초과 달성했다.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 분야는 연평균 40%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유럽연합(EU)의 안전 기준 강화로 유럽 시장에서 해당 기술은 고급 차량의 필수 사양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신규철 전자제어개발실장은 "자율주행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차량 내부 안전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탑승객 맞춤형 안전 기술 개발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2019년 운전자 동공 추적 DMS, 2020년 레이더 기반 뒷좌석 유아 감지 시스템, 2022년 생체신호 통합 감지 기술 개발해 안전분야에서 꾸준한 기술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생체신호 분석을 기반으로 한 운전자 헬스케어 기능과 상업용 차량 플릿 서비스 특화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