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대상국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사진=로이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지난 1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25%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한 이후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이런 것을 원하지는 않았지만, 캐나다는 준비돼 있다"고 설명했다. 트뤼도 총리는 이후 기자회견을 열고 1550억 캐나다 달러(약 155조6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300억 캐나다 달러 상당의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4일, 나머지 1250억 캐나다 달러 상당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21일 후부터 발효된다고 덧붙였다.
트뤼도 총리는 "관세 범위는 광범위할 것"이라며 술, 과일, 채소, 의류, 신발과 같은 일상용품을 포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들에게 자국산 제품 구매를 촉구하는 한편 미국 대신 국내에서 휴가를 보낼 것을 당부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역시 이날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 후 엑스에 글을 올려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 유입 문제를 관세부과 배경으로 밝힌 것과 관련해 "우리는 멕시코 정부가 범죄 조직과 동맹을 맺고 있다는 백악관의 중상모략과 우리 영토에 대한 개입 의도를 단호히 거부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정부가 펜타닐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거리 판매 금지, 불법 자금 세탁 방지, 멕시코와 같은 대규모 예방 캠페인 등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멕시코 정부는 4개월 동안 2000만회분의 펜타닐을 포함해 40t 이상의 마약을 압수하고, 관련 인물 1만여명을 체포했다고 강조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백악관이 펜타닐 등 문제를 이유로 중국산 제품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 강한 불만을 표명했다. 이를 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조치로 규정했다.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WTO 제소를 추진하는 한편, 미국에 대한 상응하는 반격 조치를 단행해 중국 권익을 수호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주요 외신들은 일제히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설에서 "이웃 국가들을 향한 트럼프의 이 같은 경제적 공격에 대한 정당화 논리는 전혀 설득력이 없다"라며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이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북미 지역의 긴밀히 통합된 석유 시장을 교란시키고 미국 운전자들의 휘발유 가격을 상승시킬 우려를 낳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중국 관영 매체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신화통신은 이를 긴급 뉴스로 보도하며 "트럼프 정부의 무역 보호주의 정책은 국제사회와 미국 내에서도 광범위한 반대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