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중국의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한 주의보를 발령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2일 일본 NHK방송에 따르면 다이라 마사아키 일본 디지털 장관은 전날 오키나와현 나고시에서 강연을 통해 딥시크 AI와 관련해 "개인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 알 수 없다"며 부정적 의견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이용자 개인정보를 지킨다는 관점에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공무원의 딥시크 AI 이용 자제'를 권고하며 정부 차원의 대응 계획도 시사했다. 다이라 장관은 "데이터 보호라는 관점에서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거나, 사용하려면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각사이버시큐리티센터(NISC)를 통해 각 부처에 딥시크 AI 이용 주의도 전달할 예정이다.
중국과 갈등 관계인 타이완 정부는 더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안보 위험 초래'라는 명분을 들어 정부 및 관련 기관의 딥시크 AI 사용을 아예 금지한 것이다. 중앙·지방 정부의 각 부처·기관,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이 대상이다. 타이완 중앙통신사(CNA)에 따르면 타이완 디지털부는 지난달 31일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 유출,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하며 국가의 정보 보안을 위태롭게 한다"고 설명했다.
딥시크 돌풍에 세계 주요국은 정보 유출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 가란테(Garante)는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지난달 29일부터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네덜란드 당국은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하고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독일 당국 역시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