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사진=로이터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25%나 되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행정 명령에 서명하며 사실상의 관세 전쟁을 선포한 가운데 한국 대기업이 두 나라에 200곳이 넘는 법인을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CXO연구소는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지난해 지정한 88개 국내 대기업집단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운영 중인 해외법인 현황을 조사한 결과 25개 그룹에서 201곳의 해외 계열사를 운영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201곳 중에서도 110곳은 캐나다, 91곳은 멕시코에 각각 분포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운영 중인 법인 중 현지 공장 등에서 제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조 기업들은 관세폭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기업별로는 삼성이 캐나다에 50곳, 멕시코에 18개의 회사를 둔 것으로 확인됐다. 제조 생산과 측면에서 캐나다보다는 상대적으로 멕시코에 둔 법인에서 미국 관세 장벽을 극복해야 한다. 삼성은 멕시코 주요 법인을 통해 전자 및 오디오제품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이어 현대차가 28곳의 해외법인을 운영 중이었다. 16곳은 멕시코, 12곳은 캐나다에 있었다. 현대차 그룹 계열사인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는 각각 멕시코에서 완성차 및 자동차부품 제조와 판매 사업을 펼치고 있다.

/ 그래픽=한국 CXO연구소
한화도 14개의 법인을 멕시코(12곳)와 캐나다(2곳)에서 운영 중인데 상당수는 태양광 관련 사업을 위한 회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 제조업 중에서는 멕시코 법인 한 곳에서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LG도 11개 법인을 멕시코(8곳)와 캐나다(3곳)에 설립해 운영 중이다. 이중 캐나다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실질 지배하고 있는 넥스트스타 에너지를 통해 자동차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멕시코에는 LG전자가 거느린 회사에서 전자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포스코 역시 11곳이나 되는 해외법인을 멕시코(6곳)와 캐나다(5곳)에 각각 세워 사업을 영위 중이다. 이외 주요 그룹 중에서는 ▲LS(7곳) ▲CJ·GS·넷마블·현대백화점(각 6곳) ▲SK·네이버·효성(각 5곳) ▲두산·한국앤컴퍼니·에코프로(각 3곳) 순으로 캐나다와 멕시코 두 국가에 3개 이상의 법인을 두고 있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생산 제조 공장을 두고 있는 국내 주요 대기업 중 배터리와 가전, 자동차 관련 제품군이 관세 폭탄으로 미국 수출 경쟁력에서 일정 부분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단기간에 미국으로 공장 이전을 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해당 국가에서 제품을 생산해 판매를 늘리거나 미국을 제외한 이웃 국가 등으로 시장 다변화를 하는 방식으로 일정 부분 관세 충격파를 줄여나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