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AI 적용 현황 및 추진 계획 /사진=GS칼텍스
GS칼텍스는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인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AI 자율제조 플랫폼 구축'을 추진중이라고 13일 밝혔다.
AI 자율제조는 AI 기술을 로봇∙장비 등의 제조 공정에 결합해 생산의 고도화와 자율화를 구현하는 미래 첨단 제조 환경이다. 다품종 개인 맞춤형 생산체계로의 최적화,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모니터링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의 장점이 있다.
산업부는 AI 기반 국내 제조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지난해 5월 'AI 자율제조 전략 1.0'을 발표하고 7월에는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를 출범한 바 있다.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는 우리나라 12개 주력 산업 분과로 구성되며, GS칼텍스는 석유화학 산업 분과 앵커기업으로 선정됐다.
GS칼텍스는 산업부가 공모한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 국책과제에 '정유·석유화학 산업 공정 최적화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AI 자율제조 플랫폼 구축'을 주제로 지원해 지난해 9월 선정됐으며, 준비 과정을 거쳐 이번달부터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해당 국책과제는 GS칼텍스를 비롯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부산대학교·경희대학교·한양대학교·전라남도·여수시가 함께 진행하며 산업부로부터 국비 80여억원을 지원받았다. GS칼텍스는 AI 자율제조 플랫폼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 AI 자율제조 플랫폼이 구축∙적용되면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전체 공정을 최적화함으로써 공정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고 온실가스 배출도 저감할 수 있다.
GS칼텍스는 2028년 말까지 2단계에 걸쳐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1단계에서는 정유∙석유화학 공정별로 운전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이를 기반으로 단위 공정별 AI 최적화 모델을 개발한다. 2단계의 경우 전 공정 통합 AI 자율제조 플랫폼을 구축해 여수공장에서 실증 및 고도화 작업을 진행한다.
GS칼텍스는 각 공정의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원재료 투입량·제품 Spec 및 수율·이산화탄소 배출량 등 최적 운전 전략을 도출하는 AI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주요 공정 앞단에서 발생한 가열로 설비 내부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해 디지털 스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할 방침이다. AI 모델이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운전 시스템을 설정해 연료 사용량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GS칼텍스 관계자는 "그간의 AI 기술 공장 적용과 이번 AI 자율제조 플랫폼 구축 추진을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됐다"며 "지속가능하고 수익성 있는 성장을 통한 100년 기업을 향해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