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가 차등 수수료를 적용한 상생 요금제를 발표하자 라이더들 사이에서 배달단가 인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 시내에서 배달기사가 음식을 배달하고 있다. /사진=뉴스1
최근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는 지난해 배달플랫폼 상생협의체에서 타결한 상생안에 따른 차등 수수료 시행안을 발표했다. 배민은 이달 26일부터, 쿠팡이츠는 4월1일부터 새로운 수수료를 적용한다.
중개수수료는 현행 9.8%보다 2~7.8%p 인하된다. ▲매출 상위 35% 이내 업체 7.8%(부가세 별도) ▲상위 35% 초과∼80% 업체 6.8% ▲하위 20% 업체 2.0%를 각각 적용한다. 중개수수료와 마찬가지로 업주가 부담해야 하는 배달비도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한다. ▲매출 상위 35% 이내 업체 2400~3400원 ▲상위 35% 초과∼50% 업체 2100~3100원 ▲하위 50% 업체 1900~2900원 등이다.
일부 구간 중개수수료와 배달비를 낮춘 상생안이 발표되자 라이더들 사이에서 '플랫폼사들이 부족해진 수익을 메우기 위해 라이더 지급분을 줄이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19일 '배달세상' '배배배' 등 라이더 커뮤니티와 '아프니까 사장이다' 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서는 갈수록 줄어드는 배달단가에 대한 게시글과 댓글이 여러 차례 올라왔다.
한 누리꾼은 "1년 전 1월 배달단가 평균이 6400원이었는데 지금은 2200원짜리 콜이 당연해졌다"며 "라이더들끼리 2000따리 콜 받지 말자고 한 게 불과 몇달 전인데 이제는 3000원 이상 콜은 찾아보기 힘들어졌다"고 썼다.
다른 누리꾼은 "엔데믹 이후 배달 수요가 줄어들자 플랫폼들이 무료배달 경쟁을 시작한 게 모든 문제의 원흉"이라면서 "플랫폼들이 무료배달로 줄어든 수익성을 메우기 위해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배달팁을 삭감하고 입점 업체에는 중개수수료를 올려받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누리꾼도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무료배달이 가장 치명타인 게 사실"이라며 "무료배달 전에는 가게와 고객 모두에게 배달료를 받았기 때문에 플랫폼이 일부는 수수료로 제한다 해도 평균 단가 4000원 이상이 기본이었다. 무료배달 이후 소비자에게 배달료를 못 받으니 라이더 단가를 2000원대까지 삭감한 것"이라고 짚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