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가 다음달 5~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한다./사진=에코프로
에코프로가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서 인도네시아 통합 양극재 법인, 전고체용 신소재 개발 등 미래 성장동력을 공개한다고 27일 밝혔다.
에코프로는 다음달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에서 '이노베이팅 에코프로, 에너자이징 투모로우'를 주제로 총 4개의 존을 선보인다.

에코프로는 전시회를 통해 '인도네시아 통합 양극재 법인' 로드맵을 공개한다. 로드맵에는 ▲연내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에 통합 양극재 법인 연내 설립 ▲제련-전구체-양극재로 이어지는 밸류체인 구성 계획 등이 담겼다.


인도네시아 통합 양극재 법인은 광물을 확보한 중국 GEM과 합작으로 설립된다. 하이니켈 양극소재 원가 구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니켈을 저렴하게 확보해 가격을 대폭 낮춘 양극 소재를 생산할 예정이다. 에코프로는 빠르면 하반기부터 공장 건설에 들어가 2026년 말 시제품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1단계 약 5만톤, 중장기적으로 20만 톤 캐파를 갖춰 나갈 방침이다.

전고체용 신소재 개발 계획도 선보인다. 에코프로비엠은 전고체 시대를 대비해 지난해 고체 전해질 파일럿 라인을 구축하고 시험 가동에 들어갔으며 양산 라인 설립을 계획 중이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도 전고체 배터리 음극 등에 사용할 리튬메탈 기술을 캐나다 하이드로 퀘벡과 함께 개발하고 있으며 황화리튬 생산을 위한 파일럿 라인을 내년에 구축할 계획이다.

가족사들의 경쟁력 강화 방안도 소개한다. 에코프로는 올해 상반기 중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에코프로씨엔지의 합병을 추진한다. 이노베이션의 리튬 정련 기술과 씨엔지의 리튬 추출 기술을 결합해 생산 공정의 최적화를 이룬다는 계획이다. 합병을 통해 원료의 안정적인 수급, 기술 및 가격경쟁력 상승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 에코프로는 하이니켈계 양극소재와 함께 변화하는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미드니켈·소디움 양극재·LFP·NMX(코발트프리) 등 다양한 미래 배터리 기술들을 전시한다. 올해 본격 가동에 들어가는 헝가리 공장의 준공 등 글로벌 전략도 소개한다. 에코프로는 오창과 포항을 중심으로 헝가리·인도네시아·캐나다 등 전 세계로 생산 기지를 확장하고 있다.

양제헌 에코프로 기술전략실장은 "인도네시아 통합 양극재 사업 등을 통해 원가 경쟁력까지 한층 강화해 시장을 선도하는 모습을 이번 전시 테마로 잡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