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대표(왼쪽)가 3일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MWC2025' 삼성전자 부스를 방문해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과 만났다. /사진=양진원 기자
유영상 대표는 3일(현지시각) MWC2025가 열리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비아 전시장의 삼성전자 부스를 찾아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을 만났다.
삼성전자는 피라 그란 비아 전시장에 1745㎡(528평) 규모의 전시관을 세우고 플래그십(최고급 사양) 라인업 갤럭시S25 시리즈의 AI 기능을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해 선보이는 중이다.
유 대표는 이날 전시 부스를 돌아보면서 XR 기기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삼성전자는 이번 MWC2025 자사 부스에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처음으로 갖춘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의 시제품을 전시했다.
무한은 구글과 손잡고 제작 중이며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한다. 퀄컴은 기기의 두뇌와 같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제작한다. 멀티모달 AI와 첨단 XR 기술을 결합한 무한은 사용자의 상황을 이해해 편의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 대표는 이날 노태문 사장에게 "돌아다니면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나"고 물었다. 노 사장은 "무한은 앉은 채로 VR을 경험할 수 있고 외부 관경 역시 이미지로 인식한다"며 "바깥 상황을 고려해 다양한 기능을 보여주거나 AI로 제안해줄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유 대표는 재차 보행 시 사용 여부를 물었고 노 사장은 "카메라를 장착한 만큼 사용한 채로 걸어다닐 수 있다"면서도 "이를 권장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유 대표는 안경 부분으로 진화할 가능성을 물었다. 노 사장은 "안경 쪽으로도 진화할 생각"이라며 "기본적으로 이 제품의 차별점은 무게나 착용감도 있지만 더 자연스러운 음성을 바탕으로 한 보이스 인터랙션 인터페이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과거엔 컨트롤러를 쓰거나 어떤 터치를 하거나 제스처를 해서만 가능했다면 이제는 음성 상호작용을 통해 더 정교하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유 대표의 "내부에 통신 칩이 탑재돼 있나"는 질문에는 "현재 와이파이 테더링 기반"이라고 했다. 유 대표는 외부 환경에서 이동시 통신 칩이 필요할 것 같다며 여운을 남겼다. 이에 노 사장은 모바일 단말기를 같이 가지고 있으면 문제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