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사진=로이터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캐나다와 중국 수입품에 신규 관세 부과를 발효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에 대한 공포가 확산됐다.
4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70.25포인트(1.55%) 내린 4만2520.9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1.57포인트(1.22%) 내린 5778.1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5.03포인트(0.35%) 하락한 1만8285.16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이날 오전 0시(한국시각 4일 오후 2시)부터 멕시코·캐나다·중국에 대한 관세를 발효했다.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대해 25%의 전면 관세 부과 조치를 발효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기존 10% 관세에 10%를 추가 부과했다.


각국은 즉각 보복 조치를 시사했다. 캐나다는 같은 날 1550억 캐나다달러(1070억 달러) 규모 미국 상품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미국의 무역 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오는 9일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도 즉각 반격에 나섰다. 중국은 미국산 농·수·축산품에 대해 10~15%의 관세를 추가 부과하기로 하고, 해충 발견을 이유로 미국산 원목 수입 중단을 결정했다. 3개 미국 기업의 대두 수입도 중단했다.

중국 상무부는 "반격 조치를 통해 권익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며 "미국은 다른 국가의 권익을 존중하고 부당하고 근거 없는 일방적 관세 조치를 즉시 철회하라"고 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S&P500지수는 1.2% 하락해 (지난해) 11월 5일보다 낮은 수준으로 마감했다"며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축적된 상승분을 모두 날려버렸다"고 했다.

FT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 3개국에 부과한 관세로 관세는 수십 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인상됐으며, 긴장이 더욱 고조됨에 따라 추가로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종목별로는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둔 미국 완성차 업체 제너럴 모터스(GM)는 4.52% 내렸다. 포드는 2.93% 하락했다. 멕시코 음식 체인인 치폴레는 2.14% 떨어졌다. 치폴레는 아보카도의 절반을 멕시코에서 조달하는데 관세 인상으로 이익 마진이 줄어들 것이란 우려에 매도세가 짙어졌다. 엔비디아는 1.69% 올랐지만 전반적인 투심 위축 속에 주요 지수 반등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테슬라는 4.43% 급락했다. 미국의 유력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 BoA )는 테슬라의 투자 등급은 '중립'을 유지하면서 목표가를 490달러에서 380달러로 대폭 낮췄다. BoA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과 무역전쟁으로 테슬라의 피해도 불가피하다며 목표가를 크게 하향했다.

테슬라가 급락하자 다른 전기차도 모두 하락했다. 리비안은 2.17% 하락한 11.26달러를, 루시드는 0.94% 하락한 2.10달러를 각각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