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구 보건소 업무보고회에 참석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제공=고양특례시
시는 지난해 임신과 출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 위험 요인을 조기 발견하고 지원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실시했다. 기존에는 임신을 준비하는 부부를 대상으로 1회만 지원했으나 올해부터는 20세~49세 남녀라면 1주기(20~29세), 2주기(30~34세), 3주기(35~49세) 등 주기별 1회씩, 생애 최대 3회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검진 항목은 여성의 경우 난소 기능 검사, 부인과 초음파 검사로 최대 13만원까지 지원 가능하다. 남성은 정자의 수, 모양, 운동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액검사를 최대 5만원 한도 내로 지원받는다. 시는 올해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예산을 약 4억8000만 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임신·출산 고위험 요인을 미리 발견해 치료·관리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시는 여성의 가임력 보존을 위해 난자를 동결하거나 냉동 난자를 활용한 임신 시도를 적극 지원한다.
오는 4월부터 고양시를 포함한 경기도에 6개월 이상 거주한 20~49세 여성 중에서 중위소득 180% 이하, 난소기능수치(AMH) 1.5ng/ml 이하 등 조건에 해당되면 난자 채취 사전 검사비와 난자 동결 시술비의 50%를 최대 2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할 예정이다. 의학적 사유로 영구적 불임이 예상되는 경우 정자·난자 냉동 및 초기 1년 보관 비용(남성 최대 30만 원, 여성 최대 200만 원)을 생애 1회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난임 진단을 받기 전이라도 가임력 보존을 목적으로 냉동한 난자를 사용해 임신·출산을 위한 보조생식술을 받는 경우 비용의 일부를 지원한다.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사업'은 1회당 최대 100만 원으로 부부당 최대 2회 신청 가능하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돕기 위해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강화하고, 나아가 질 높고 부담 낮은 양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