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탄소상쇄사업은 개인 산주, 공공기관, 기업 등이 숲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이를 인증받아 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하거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으로 활용토록 하는 제도다.
산림탄소상쇄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유형은 △신규 조림, 재조림 △식생 복구 △목제품 이용 △벌기령 연장 산림경영사업 △수종 갱신 산림경영사업 △산림바이오매스 이용 사업 △산불 피해지 조림 사업 등이다.
앞서 전남도는 지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21억원의 예산을 지원해 총 277건의 산림탄소상쇄사업을 등록했으며 올해는 3억5000만원을 들여 33건 등록을 목표로 사업 계획서 작성과 모니터링·검증에 필요한 행정 비용을 지원한다.
행정 비용 지원 한도는 사업 계획서 작성 시 1000만원, 모니터링 시 1400만원, 검증 시 500만원이다.
산림탄소상쇄사업 등록을 바라는 산림 소유자는 토지 소재지 시·군 산림부서로 신청하면 된다.
지난해까지 전남에 등록된 산림탄소상쇄사업 277건의 면적은 1만7639㏊에 이르며 예상 연간 탄소흡수량은 29만2000tCO2이며 예상 총 흡수량은 686만8000tCO2에 달한다.
박종필 도 환경산림국장은 "산림탄소상쇄사업은 산주나 지자체 등이 매년 산림경영 활동을 실천하는 실적을 인증받아 사회적 기여와 탄소중립 실현에 동참할 수 있는 중요한 제도"라며 "이는 단순한 산림 보전이 아니라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핵심 전략 중 하나인 만큼 사업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