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경기 성남시 소재 네이버 본사 '그린팩토리'에서 열린 제26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해진 창업자는 사내이사로 선임되며 공식적으로 이사회에 복귀했다. 이는 2017년 경영 전면에서 물러난 지 7년 만으로 글로벌 투자 책임을 맡았던 GIO(글로벌투자책임자) 자리에서도 물러나 이사회 체제로 전환한 첫 공식 행보다.
주총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창업자는 "AI 시대를 맞이하는 네이버의 기본은 변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회사 내 여러 보직을 내려놓고 이사회 역할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그동안은 항상 내부에 일정한 역할이 있었는데 이렇게 완전히 빠지는 건 처음"이라고 밝혔다. "지금 회사에는 좋은 젊은 경영진과 기술자들이 많다"며 "이들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뒤에서 응원하고 지원하는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창업자는 이날 발언에서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협업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네이버만의 기술 독립성과 주권을 지키겠다는 이른바 '소버린 AI' 전략을 재확인했다. 사진은 이날 이해진 창업자가 발언하는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실제로 이 창업자는 이날 발언에서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협업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네이버만의 기술 독립성과 주권을 지키겠다는 이른바 '소버린 AI' 전략을 재확인했다. 그는 "협업할 일이 있다면 해야 한다. 엔비디아 같은 기업들과도 다양한 협력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저희만의 검색엔진, 저희만의 기술은 이 세상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창업자는 또 "네이버는 구글 같은 빅테크에 맞서 25년을 견디며 살아왔고 늘 어려웠다"며 "그들과 정면승부를 할 수는 없었지만, 모바일 시절 해외에 진출했듯 AI 시대에도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지금도 몇 가지 아이디어와 전략을 내부에서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앞으로 새로운 움직임들이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생성형 AI의 부상으로 기존 검색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는 분석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 창업자는 "검색의 시대가 저문 게 아니라 오히려 더 확장되고 커지고 있다고 본다"며 "전 세계가 단 몇 개의 검색엔진과 몇 개의 AI 기술에 의존하는 것은 매우 슬픈 일"이라고 지적했다. "인터넷의 다양성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네이버는 그 다양성에 기여하는 회사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진 창업자는 이날 최수연 대표 체제에 대한 신뢰도 거듭 드러냈다. 그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를 비롯한 신진 리더십은 AI 시대를 살아갈 지금과 다음 세대의 이용자들에게 최고의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며 "이들이 언제나처럼 이용자와 기술을 중심에 두고 과감하게 시도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응원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