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이유/사진=광주상의 제공.
광주상공회의소에서 운영하는 광주FTA통상진흥센터가 최근 지역 수출기업 1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트럼프 2기 관세정책 관련 지역 수출기업 영향· 지원정책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8.0%가 관세부과가 본격화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한다'고 응답했다. '영향이 없거나 긍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은 12.0%에 불과했다.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는 이유로는 시장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매출 감소(73.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국내·외 거래처와의 교역 조건 악화(35.6%), 국내 원청기업의 현지생산 이전·확대에 따른 주문량 감소(23.3%), 해외 거래처의 거래선 변경(14.4%)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 수출기업의 대응방안으로는 55.0%가 '아직은 동향 모니터링 중'이라고 응답했으며 원가절감·긴축경영 돌입(21.0%), 대체시장 발굴(7.0%), 내수비중 확대(6.0%),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4.0%) 등이 거론됐다.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지원 과제는 '한-미 FTA의 재협상을 통해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를 바라는 응답자가 39.0%로 가장 많았고 물류·통관비 지원(23.0%), 자금 지원(21.0%),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9.0%), 신흥 유망시장 개척 지원(6.0%) 등도 필요하다고 꼽았다.
광주FTA통상진흥센터 관계자는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불확실성으로 지역 수출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와 경영 부담 증가가 우려된다"면서"기업들이 관세부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통관애로 지원과 FTA활용 컨설팅은 물론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교육·정보제공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