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30일 오후 경북도청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지역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행정안전부 제공 /사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30일 "지난 21일부터 발생한 산불이 총력 대응 끝에 모두 진화됐다"며 "사망 30명, 부상 45명 등 총 75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피해 면적은 4만8238ha(헥타르)로 서울 면적(6만520ha)의 약 80%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주택 3000여동이 전소됐고, 국가유산 30건, 농업시설 2000여건 등 약 6000건에 달하는 시설 피해도 막심한 수준이다. 이재민 상당수는 임시 대피소에서 지내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현재도 대피령이 유지되고 있다.
정부는 조속한 복구와 이재민 안정을 위해 ▲공공기관 연수원 ▲민간 숙박시설 ▲임시조립주택 등을 임시 거주지로 제공하고, 긴급생활지원금과 심리·의료 서비스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산불 사태 이후 자원봉사자 약 1만명이 복구 현장에 참여했으며,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약 550억원의 성금이 모였다.
고기동 중대본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산불 피해 현장은 상상 이상으로 참담하며,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의 상실감은 말로 다 할 수 없다"며 "앞으로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한 산불 감시를 강화하고, 산불 위험 지역에 선제적 진화인력과 장비를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매우 빠르게 확산되는 산불 양상을 고려해 주민 사전대피계획도 보다 정밀하게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