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 첫날인 3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뉴시스 /사진=김진아
이날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공매도 재개와 동시에 개인과 기관의 대차·대주 거래 조건을 일원화하고 담보 유지 비율(105%)과 상환 기간(90일)도 동일하게 맞췄다. 한국거래소의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NSDS)을 도입해 무차입 공매도 적발 가능성을 높이고 불법 공매도에 대해서는 부당이득의 최대 6배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처벌도 강화했다. 실제 최근 금융당국은 글로벌 투자은행(IB) 14곳 중 13곳에서 불법 공매도를 적발해 총 836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공매도 재개에 대한 단기 수급 충격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1개월 기준으로 보면 과거 2009년, 2011년, 2021년 공매도 재개 당시에도 지수는 대체로 약세를 보인 바 있다. 게다가 이번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가 겹치며 대외 변수까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증권가는 이번 공매도 재개가 시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를 싣고 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자동차, 은행, 2차전지 등 대형 업종들의 주가는 고점 대비 하락한 상태고 밸류에이션 부담도 크지 않다"며 "특히 1분기 실적 시즌이 시작되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수출주 중심의 실적 회복 기대가 주가 방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증시의 글로벌 대비 가격 메리트가 높아진 점도 긍정적이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 증시와의 지수 상승률 괴리가 확대되면서 한국 증시는 단기 소외 구간에 진입한 상태다. 최근엔 미국 증시가 조정을 받는 반면 국내 증시가 회복세를 보이며 평균 회귀(Mean Reversion) 기대감도 커졌다. 특히 홍콩, 유럽, 일본, 대만 등 주요국 증시 대비 상대적 저평가 구간이 길게 이어진 만큼 단기 트레이딩 자금 유입 가능성도 제기된다.
공매도 전략 자체도 과거보다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변 연구원은 "제도적 통제 장치가 강화되면서 불법 공매도 가능성은 줄어들고 공매도 자체가 기업 가치를 더 명확히 반영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자본시장 접근성과 신뢰 제고 측면에서도 시장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지금이야말로 옥석 가리기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조언한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성장 스토리를 가진 기업은 공매도 물량이 나와도 오히려 주가가 상승하며 쇼트 스퀴즈(공매도 세력의 손절매 유도)를 유발할 수 있다"며 "지금은 공포보다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