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발란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가운데 서울 강남구 발란 본사가 있는 공유오피스 로비에 '발란 전 인원 재택 근무'라고 적힌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 /사진=뉴시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31일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최형록 발란 대표는 "올 1분기 계획했던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당초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지게 됐다"며 "파트너 여러분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3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회생절차와 함께 M&A를 병행하겠다고 전했다.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해 향후 현금흐름을 대폭 개선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빠르게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최 대표는 이번주 중 매각 주관사를 지정하겠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발란의 회생절차가 타 사례와 다르다며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고 현재 미지급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며 "이달부터는 쿠폰 및 각종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해 흑자 기반을 확보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발란의 월 거래액은 평균 300억원으로 알려졌다.

최 대표는 발란의 목표로 ▲회생 인가 이전 인수자 유치 ▲미지급 채권의 전액 변제 ▲안정적인 정산 기반과 거래 환경 복원 ▲파트너와의 거래 지속 및 동반 성장을 꼽았다.

이어 이번 회생절차를 통해 단기적인 자금 유동성 문제만 해소된다면 빠르게 정상화될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말하면서 "앞으로 진행할 회생절차는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건강한 재무구조로 재정비해 파트너 여러분의 권익을 신속히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사업 기반을 마련하는 회복의 과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