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 2025년 일자리 목표 및 예산/사진=부산시
부산시는 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을 밝혔다.
올해 총 2조1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종합계획은 '시민행복 미래 일자리 중심도시 부산' 비전 아래 지역 고용시장 활성화,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 미래 일자리 기반 조성,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의 4대 전략 16개 실천과제로 구성됐다.
'지역 고용시장 활성화를 위해 관광·전시 복합 산업(MICE) 등 지역 특화 일자리 창출을 강화하고 고용서비스 기능 고도화를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한다. 중년층 정규직 일자리 창출을 위한 '4050 채용 촉진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최근 경기 부진으로 일자리 전환을 희망하는 소상공인을 위해 '폐업 소상공인 고용 전환 촉진 패키지사업'을 새롭게 시작한다.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을 위해 디지털 혁신인재 양성과 디지털산업 기반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또한 반도체, 신소재, 미래차 등 미래첨단 산업을 육성하고 기계부품, 신발·섬유, 조선·기자재 등 주력산업 고도화에도 집중한다. 이와 함께 지역기업 혁신성장을 주도할 부산형 선도기업을 선정․지원하고 지역 중소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지난해보다 315억원 늘어난 총 893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제공해 안정적인 성장을 돕는다.
'미래 일자리 기반 조성을 위해 첨단업종을 중심으로 우수기업 투자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며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본격 가동해 지역기업과 대학의 혁신을 지원한다. 또한 부산기술창업투자원을 중심으로 유망 창업기업을 육성해 선순환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금융 기회발전특구 조성, 한국산업은행 이전, 디지털금융산업 육성 등을 통해 금융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지속해서 힘쓸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2033년까지 총 2조3000억원 규모의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를 새롭게 조성해 고부가가치 산업구조 전환에 앞장선다.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통해 청년·여성·장노년·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특히 청년 구직단계별 맞춤 지원사업인 '청년잡(JOB) 성장 프로젝트'를 확대해 청년 취업부터 직장 적응, 고용유지까지 일괄 지원하고 청년들의 근로의욕 고취를 위해 부산청년 일하는 기쁨카드와 기쁨두배통장를 확대 시행한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고용시장 활성화와 지역 주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특히 일자리 취약계층을 지원해 민생을 안정시키고 디지털·친환경 등 미래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