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창립 14주년을 맞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3대축 확장 전략에 속도를 내며 매출 5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세계 최대 규모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창립 14주년을 맞았다. 올해는 생산능력,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확장을 중심으로 한 3대축 확장 전략에 속도를 내며 매출 5조원 돌파를 노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4월21일 인천 송도에 설립됐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에 후발주자로 진입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신속한 생산능력 확보와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업계 선도기업으로 올라섰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능력은 78만4000리터로 글로벌 1위 수준이다. 창립 이래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제조 승인 건수는 350건을 돌파했다.


생산능력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얻고 있다. 창립 이후 지난해 말까지 위탁생산(CMO) 제품 총 99건, 위탁개발(CDO) 제품 총 133건의 수주를 달성했다. 누적 수주액은 163억달러(약 23조2112억원)로,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창사 최초로 연간 수주액 5조원을 달성했다. 현재 글로벌 상위 20개 빅파마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수주 성과에 힘입어 매출도 성장하고 있다. 2022년 국내 바이오·제약 업계 최초로 연매출 3조원을 돌파하고 지난해에는 4조원을 넘어섰다. 올해 역시 전년 대비 20~25% 성장해 5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도 ▲생산능력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등 3대 축 확장을 중심으로 성장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2032년까지 5공장과 동일한 규모의 공장 3개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8공장까지 완공 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능력은 132만4000리터다.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포트폴리오 다각화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지난달 항체·약물접합체(ADC) 의약품 생산을 위한 전용 생산시설 가동에 돌입했다. 향후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 신규 모달리티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방침이다.

해외 거점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 미국 뉴저지, 일본 도쿄 등에 영업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세계 주요 고객사와의 접점을 강화하고 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지난 14년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고객사에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CDMO 시장을 선도해왔다"며 "앞으로도 선제적인 투자를 지속해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인류의 더 나은 삶에 기여하겠다는 회사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임직원 모두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