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부자치경찰위원회 지역 특화 정책 선정회의. 사진제공=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 남부자치경찰위원회는 지역 사회의 특성에 맞는 실질적인 치안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심사를 거쳐 총 14개의 '지역특화 자치경찰 정책'을 최종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지역특화 자치경찰 정책'은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지역 치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와 경기도의회가 협력해 지난해 처음 도입한 사업이다. 올해 사업 예산을 지난해 1억5000만원에서 3억원으로 2배 상향하고 지역별 시책사업을 선정해 지원한다.
강경량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장 등 7명으로 구성한 선정심사위원회는 사업 타당성, 계획 우수성, 사업 효과성 등을 평가 기준으로 도민 체감안전도를 향상할 수 있는 사업을 선정했다.
경기도 남부자치경찰위원회는 경기도남부경찰청과 31개 경찰서에서 신청한 사업 가운데 1차 자체심사에서 선정된 안양만안경찰서의 '공동체 치안 활성화를 위한 세이프 커넥트 프로젝트' 등 14개 사업을 선정했다.
전국 최초 사업인 김포경찰서 '좋은 말벗'이 95.6점으로 1위에 선정됐다. 증가추세에 있는 우회전 일시정지(적색신호 시) 의무 위반 차량에 의한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주요 교차로에 '돌출형 반사표지'를 설치하는 시흥경찰서의 사업이 94.2점으로 2위에 올랐다.
법원으로부터 피해자 접근금지 처분을 받은 가정폭력 가해자 등이 피해자에게 연락 시도 시, 자동으로 '경고문자' 가 발송되는 분당경찰서의 'AI 기반 스마트' 사업이 3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용인서부경찰서의 '로봇핑', 수원남부경찰서의 '관계성 범죄 인식개선 프로젝트', 군포경찰서의 '다국어 범죄예방 가이드 모바일 웹' 등 사업이 선정됐다.
강경량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은 "자치경찰제 시행 취지에 맞는 지역별 치안 시책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기도형 자치경찰 구현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