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외교정책협회(FPA) 시상식에서 'FPA 메달'을 받고 만찬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FPA 메달은 국제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책임감 있는 글로벌 리더십을 보여준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그는 "대통령 탄핵이 조기대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재정 정책에 대한 양당의 견해가 상반되는 가운데 재정 부양책에 대해 언급할 경우 정치적 편향으로 비춰질 수 있었지만 침묵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정치적 혼란을 지나오는 과정에서 중앙은행 총재로서 제가 할 발언들이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한다고 오해받을 우려에 대해 여러 고민을 했다"며 덧붙였다.
아울러 "계엄사태 이후 내수가 예상보다 빠르게 위축되고 있었다"며 "연초 경제 성장률에 대한 시장 전망의 급격한 하락과 그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금리인하와 함께 어느 정도의 추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부연했다.
추경안 통과가 국가신용 등급을 지키는 수단이 될 것이라는 진단도 내놨다. 이 총재는 "추경이 초당적으로 통과된다면, 한국의 경제 정책 만큼은 정치적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메시지를 국제 투자자들에게 줄 수 있어 국가신용 등급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추경 언급이 정치적 중립성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시간이 제 결정의 옳고 그름을 평가해 줄 것"이라며 "중앙은행가는 정치적 중립을 유지해야 하지만,케인스가 그의 스승 마셜을 가리켜 말했듯이 경제학자는'때로는 정치인만큼 현실적'일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경제 성장세도 언급했다. 그는 "MF도 내일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을 상당폭 하향 조정할 것"이라면서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수출 중심 구조를 가진 우리 경제는 대외환경 변화에 특히 취약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주요국의 관세 인상은 우리나라 수출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접적인 수출뿐 아니라 베트남의 반도체, 멕시코의 전자제품과 자동차 등과 같이 우리 기업 들이 해외에서 생산하는 수출품들도 상당히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