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이달 사별로 열린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하고 초대 선임사외이사로 심달훈 사외이사(현대차), 조화순 사외이사(기아), 김화진 사외이사(현대모비스)를 각각 선임했다고 27일 밝혔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대표 격인 선임사외이사를 선출해 사외이사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는 제도다. 3사는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가 보다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해당 제도를 도입했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만이 참여하는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갖는다. 사외이사들을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자료 및 현안 보고를 요청하고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사는 선임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사외이사회'도 신설했다. 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들이 안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하기 위한 차원으로 각 사는 사외이사 전원으로 사외이사회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선임사외이사 제도와 사외이사회 신설 등 이사회 제도 개선을 통해 투명한 경영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게 됐다.
이사 선임 시에는 성별·인종·국적 등 다양성 요소를 고려한다. 글로벌 비즈니스·법무·미래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경험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이사를 선임해 이사회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달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학계나 정부 기관이 아닌 경영인 출신 3인을 사외이사로 새롭게 선임해 이사회의 기업 경영 관련 전문성을 강화했다.
신규 선임된 김수이 사외이사와 벤자민 탄 사외이사는 각각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 글로벌 사모투자 대표와 싱가포르투자청(GIC) 아시아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역임한 재무·회계 및 자본시장 전문가다. 도진명 사외이사는 퀄컴 아시아 부회장 출신으로 반도체와 더불어 AI와 수소 등에도 폭넓은 경험과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대차는 이들이 각 분야의 높은 이해도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사회 및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