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후보 캠프인 국민먼저캠프는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에너지 가격을 안정시키고 산업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서 에너지 영역에서 과도한 PC 주의를 걷어내야 한다"며 "전력의 안전성, 경제성 등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현실적인 대책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국민먼저캠프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이 내세운 '2040 탈석탄'과 '에너지고속도로' 공약도 비판했다. 막대한 경제적 부담과 산업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2040 탈석탄'은 오는 2040년까지 국내 모든 석탄발전소 폐쇄한다는 게, '에너지고속도로'는 대규모 송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국민먼저캠프는 "장밋빛 청사진만 내세운 기후공약을 준비 없이 추진하는 것은 위험하다"며 "국가의 근간인 에너지 정책은 전력의 안정성, 경제성, 환경성 모두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먼저캠프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국토에너지종합계획 수립 ▲환경부를 기후환경부로 개편 ▲플렉시트(플라스틱 엑시트) 프로젝트 추진 등의 기후·에너지 분야 공약을 발표했다.
전력망, 통신망, 철도망, 도로망 계획을 함께 수립하고 적기에 건설하는 국토에너지종합계획을 통해 첨단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게 국민먼저캠프 구상이다. 저비용의 신속한 전력망 확충과 AI(인공지능) 및 반도체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 안정적 전력 공급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환경부를 기후환경부로 재편하고 기후대응 전담 2차관을 신설해 기후대응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관계 부처 및 지자체와 함께 기후재난에 범정부적·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인공위성 및 AI를 활용해 대형 산불, 국지성 폭우 등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발생의 위험성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예방 조치를 시행하는 게 골자다.
국민먼저캠프는 플렉시트 프로젝트로 대한민국을 순환경제 강국으로 도약시킬 계획이다. 단순히 플라스틱 생산 감축에만 머무르지 않고 첨단기술과 혁신으로 자원 및 자원순환 인프라를 고도화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규모를 연 10조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투자를 강화해 재활용률을 6배 수준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국내 순환경제 산업 규모를 90조원 이상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도 있다.
국민먼저캠프는 "국민의 삶과 미래를 지켜내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시스템 개선이 매우 시급하다"며 "기후위기를 기후기회로 전환해 국민이 안심하고 미래 세대가 희망을 품을 수 있는 새로운 50년의 성장을 반드시 만들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