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인 지난달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고 있다. /사진=뉴시스
검찰이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정식 소환했다. 김 여사는 그동안 영부인이라는 이유로 출석한 적이 없었지만 이번엔 검찰에 출석할지 관심이 쏠린다.

11일 뉴스1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은 김 여사 측에 이번 주 중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는 내용의 출석요구서를 보냈다. 수사팀은 지난 2월부터 김 여사 측에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지만 번번이 무산됐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지난해 국회의원 선거 공천 등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하고 있다. 김 여사는 202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정치브로커 명태균씨에게서 여론조사를 무상 제공받고 그 대가로 같은 해 6월1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 의창에 공천받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보궐선거와 함께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포항시장과 평택시장 등 후보 공천에 개입하고 작년 총선에선 김상민 전 검사를 창원 의창에 출마시키려고 공천에 개입했다는 논란도 있다.

검찰은 김 전 검사와 당시 지방선거 국민의힘 경선 후보자 등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도 대부분 마무리했다. 검찰청사가 아닌 제3의 장소에서 김 여사를 조사하는 방안은 고려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김 여사는 지난해 7월 명품가방·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혐의와 관련해 검찰 대면 조사를 받은 바 있다. 당시 경호 문제를 이유로 검찰청사가 아닌 서울 종로구 대통령경호처 부속청사에서 조사가 이뤄져 황제 조사 논란이 제기됐다. 지난달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됨에 따라 전직 대통령 신분이 되면서 김 여사가 경호 문제를 이유로 출석을 거부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김 여사가 대선이 23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등 이유를 들어 출석 요구에 불응할 가능성도 있다. 검찰의 소환 요청에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해서 불응할 경우 강제 수사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체포영장 발부·집행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