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60.72포인트(2.81%) 오른 4만2410.10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184.28포인트(3.26%) 상승한 5844.19에, 나스닥종합지수는 779.43(4.35%) 오른 1만8708.34에 마감했다. S&P500과 나스닥은 지난달 9일 이후 하루 최대 상승폭이다.
미중은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상대국 관세를 11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매기는 관세는 145%에서 30%로,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매겼던 보복관세는 125%에서 10%로 내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시장을 개방하기로 한 것이 가장 크다"며 "어제 우리는 중국과의 무역 관계를 완전히 재설정했다"고 밝혔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양국 대표단은 어느 쪽도 디커플링(공급망 완전 분리)을 원하지 않는다는 공감대를 이뤘다"며 "몇주 안에 더 큰 합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예상보다 빠른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으로 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에 돌아왔다. 엔비디아(5.44%), 애플(6.31%), 테슬라(6.75%), 메타플랫폼(7.92%) 아마존(8.07%) 등 빅테크가 일제히 급등했다. 베스트바이(6.56%), 델 테크놀러지(7.83%)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도 주가 강세였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18.39로 전 거래일 대비 3.5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2일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발표 이후 첫 20선 밑이다.
경기침체 우려가 줄어 채권 금리와 국제 유가가 오르고 금값은 내렸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4.48%로 지난 9일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9bp 올랐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1.5% 높은 배럴당 61.95달러였다.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 오후 1시44분 전 거래일보다 3% 내린 온스당 3225.28달러였다.
침체 우려 완화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인하 기대감은 잦아들고 있다. 시카고선물거래소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7월 연준 금리 동결 확률을 57%로 반영했다. 지난 9일 40%에서 20%포인트 가까이 상승한 것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