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태 구미시의원은 전동킥보드(PM) 이용 급증에 따른 안전사고 문제를 지적하며 구미시의 실효성 있는 대응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의원은 지난 19일 열린 제287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전동킥보드의 무분별한 이용과 관리 부실을 더는 방치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17년 117건이던 PM 관련 사고가 2023년 2389건으로 20배 이상 증가했다"며 "청년층뿐 아니라 40대 이상도 사고 비중의 10%를 차지해 전 세대가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1월 도량동에서 발생한 50대 여성 사망 사고를 언급하며 "헬멧만 착용했어도 막을 수 있었던 안타까운 사고였다"고 말했다. 그는 현행 도로교통법이 헬멧 착용과 동승 금지 등을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현실을 비판했다.
김 의원은 구미시의 소극적인 대응도 문제로 지적했다. 그는 "현재 운영 중인 오픈채팅방 제보 방식은 참여 인원이 100명 안팎에 불과해 한계가 뚜렷하고 수거 지연으로 시민 불편도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울·인천 등 다른 지자체들이 무단 방치 PM 견인, 과태료 부과, 킥보드 없는 거리 조성 등 강력한 조치를 시행 중인 점을 들며 "언제까지 상위법만 탓하며 손놓고 있을 것이냐"고 질타했다.
이날 김 의원은 실효성 있는 방안도 제안했다. △청소년 무면허 이용과 음주 운전을 경찰과 합동 단속하고 유동인구 많은 지역은 집중 단속 구역으로 지정할 것 △안전교육 강화와 보호장구 착용 의무화, 위반 시 제재 강화 △무단방치 킥보드 강제 견인과 비용 청구, 관리 미흡 업체에 과태료 부과와 영업 제한, 반복 위반 사용자에 대한 이용 제한 등 행정조치를 병행할 것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전동킥보드는 편리한 교통수단이지만 방치하면 시민 안전과 도시 품격을 위협하는 존재가 된다"며 "구미시는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