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믹스 투자자들이 모인 위믹스투자자협의체(협의체)는 지난 19일 총 3150명 투자자들의 중지를 모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공식 탄원서를 제출했다.
협의체는 상장폐지 결정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현행 상장 폐지 제도도 개선해야 촉구했다. 입장문에서 "위믹스는 지난 수년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성장했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과를 거뒀다"며 "이번 상폐 결정은 거래소 간 소통과 조율이 부족한 상황에서 민간 협의체인 닥사가 실질적인 상폐 권한을 행사하며 내려진 일방적인 조치였다"고 꼬집었다.
위믹스 재단의 실효성 있는 조치는 고려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위믹스 재단은 해킹 피해 발생 직후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고 외부 보안업체를 통해 신속히 점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증까지 확보했다. 이어 피해 규모를 상회하는 3000만개 규모의 바이백(시장매수) 계획을 발표하는 등 다방면에 걸쳐 신뢰 회복에 나선 바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 차례의 대면 소명 기회도 제공하지 않은 채 이메일과 온라인 회의만을 통해 거래지원 종료 결정을 내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닥사가 상장 폐지 결정은 각 거래소의 판단이라는 주장한 데에도 날을 세웠다. 협의체는 "단순한 공지 시점 일치를 넘어 공동행위이자 사전 조율의 정황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며 "투명성과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결정 구조로 투자자의 권리는 철저히 배제됐다"고 주장했다. 위믹스 상장 거래소들이 같은 날, 같은 시각, 동일한 문장으로 위믹스 상장폐지를 공지했기 때문이다.
협의체는 법원에게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이 내려진 전반적인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줄 것과 위믹스에 대한 거래지원 종료 결정을 전면 재검토해달라고 호소했다. 여기에 거래소들이 해당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공동행위가 있었는지 여부와 어떤 방식으로 상호 소통이 이뤄졌는지를 명확하게 검토해달라고 했다.
협의체는 "이번 탄원서 제출은 단순히 법적 판단을 구하는 것을 넘어 수많은 투자자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전하고 더 나은 가상자산 시장을 위한 방향을 함께 고민해달라는 요청"이라며 "앞으로도 투자자의 권익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모든 합리적 수단을 동원해 끝까지 책임 있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위믹스 재단과 위믹스 투자자 503명은 지난 9일 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거래지원 종료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사건번호 2025카합20718)을 제기한 바 있다. 심문기일은 오는 23일 오전 10시20분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