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I서울보증보험의 전산 장애가 이틀 연속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15일 서울 종로구 SGI서울보증 본사 모습./사진=뉴스1 박지혜 기자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SGI서울보증보험의 시스템 장애가 이틀째 이어지면서 금융 소비자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 특히 5억원 이상의 전세대출 보증은 SGI서울보증보험이 유일해 전세 수요자들의 혼란이 상당하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SGI서울보증은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시스템 장애가 지난 14일 이른 새벽부터 이날 오후까지 이어지고 있다. 랜섬웨어 공격으로 시스템 장애가 발생한 첫 보험사다.


서울보증은 휴대폰 할부 개통과 부동산 전월세 보증을 비롯해 금융기관 대출 보증 등 생활 밀착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은행들의 전세대출 경우 서울보증 적격심사를 통과하면 보증 한도 범위 내에서 대출이 나온다.

SGI서울보증에서 랜섬웨어 공격으로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등 은행 대출 업무에 차질이 발생했다. 서울보증은 14일 오후 3시쯤부터 전화 연결은 정상 운영되고 있다고 공지했으나, 시중은행은 전화 신청도 원활하지 않다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보증은 보증서 발급이 가능한 임차인에 대해 '선 대출 실행 후 보증서 가입'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하지만 지난 14일부터 전세대출 신규 신청이 막힌 상황이고, 시스템 장애 복구 시점도 미정이다.


서울보증은 시스템 장애 복구 이후 금융당국의 제재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전자금융감독규정'에 따르면 전자금융사고 시 핵심업무의 복구목표시간은 3시간 이내로 하되, '보험업법'에 의한 보험사 핵심업무의 경우에는 24시간 이내로 하도록 돼 있다.

서울보증은 시스템 장애가 이틀째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시스템 복구 이후 금감원 검사와 영업정지 또는 1000만원에서 5000만원 사이의 과징금 제재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랜섬웨어 공격으로 시스템 장애가 장시간 이어진 사례가 보험업계에서 처음인 만큼 금감원 조사이후 제재 내용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