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2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중교통 혁신회의' 첫 회의를 열고 제도 전반을 재점검하는 논의에 착수했다.
준공영제 도입 20주년을 앞두고 △이동권 보장 △서비스 개선 △재정 효율화를 목표로 종합 개편을 추진한다.
이날 회의에는 강기정 시장, 시의회, 운송·노동조합 관계자, 전문가 등 18명이 참석했다.
혁신회의는 △노사 상생 △재정 혁신 △노선 혁신 △버스행정 등 4개 분과로 구성돼 임금·근로환경 개선, 원가 절감·요금 조정, 시민 편의성 제고, 서비스 품질·안전 강화 방안을 집중 검토한다.
첫 회의에서는 분과별 역할과 운영 방향을 확정하고 각계 의견을 공유했다. 박필순 시의원은 "사전정산제 등 다른 지자체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상복 버스노조 위원장은 "수송분담률 확대를 통한 적자 구조 개선"을, 임동춘 운송조합 이사장은 "도시철도 2호선 연계 버스전용차로 도입"을 제안했다.
시는 이달부터 노사상생 분과 논의를 시작으로 순차적 회의를 열고 최종 개선안을 시 버스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확정할 계획이다.
강기정 시장은 "지난 버스파업 해결 당시 약속한 대중교통 혁신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첫걸음"이라며 "요금 체계부터 노동환경, 시민 서비스까지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