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머니S DB
뉴욕증시가 반도체 악재 속 혼조 마감했다.

22일(이하 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79.37포인트(0.40%) 오른 4만4502.44에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4.02포인트(0.06%) 상승한 6309.62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81.49포인트(0.39%) 내린 2만892.69에 장을 닫았다.


S&P500 지수는 이날까지 올해 들어 11번째 사상 최고점을 경신했다. 2분기 실적 시즌을 맞아 대형주 실적 기대감이 커지면서 매수세가 쏠린 영향으로 보인다.

반면 반도체주는 오픈AI 발 악재로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소프트뱅크와 오픈AI의 5000억달러 규모 인공지능(AI) 프로젝트는 시작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단기 계획을 축소했다.

브로드컴은 3.34%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2.54%, TSMC는 1.78% 하락했다. 반도체 종목들의 모임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76% 떨어졌다.


항공우주 및 방산 기업 록히드마틴은 2분기 매출이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10.81% 하락했다. 필립모리스도 2분기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자 8.43% 떨어졌다.

오는 23일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테슬라를 시작으로 '매그니피센트7(M7)' 대형 기술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시장은 해당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관세 동향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오는 28~29일 스웨덴에서 중국과 회담을 계획 중이라며, 관세 유예 시한 연장을 논의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상호 관세율은 19%로, 관세 서한에서 언급한 20%보다 1포인트(p)낮아졌다. 지난 4월 상호 관세 발표 당시 관세율 17%보단 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