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경기도가 운영하는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도내 누적 온열질환자는 총 505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7월 한 달간(7.1.~7.26.)만 438명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7월 전체 환자 수(78명) 대비 5.6배 증가한 수치다.
환자 발생 장소는 실외가 전체의 79.8%로 차치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작업장(37.8%), 길가(11.9%), 논밭(9.1%) 순으로 많았다. 실내는 작업장(8.5%)과 집(5.3%)에서 많이 발생했다.
나이별로는 65세 이상 고령층이 25.1%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전체의 81.2%를 차지했다. 이에 고령층과 야외 작업에 노출된 남성층이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질환별로는 열탈진이 63.6%로 가장 많고, 그 외에 열사병, 열경련 등이 보고됐다.
올해 도내 온열질환 사망자는 3명 발생했다. 이 중 한 명은 고령자가 자택 인근에서 벌초 작업 중 쓰러졌다. 폭염 시 고령자와 야외 노동자 등 취약계층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해 사망자 2명은 모두 8월 발생했다.
경기도응급의료지원단은 최근 열탈진 등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규칙적인 수분 섭취로 예방이 필요하며 온열질환이 심각하면 가까운 병원을 찾아 체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회복하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