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28일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에서 열린 '광주RE100 추진본부 현판 제막식'에는 강기정 광주시장을 비롯해 김승남 광주도시공사장, 박필순 시의원, 고상연 한국기후에너지진흥원장 등 관련 기관과 기업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광주시는 'RE100 예비기업 선언식'과 '광주RE100 세미나'도 함께 개최하며 에너지전환 흐름을 구체화했다.
'광주RE100 추진본부'는 광주시,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광주도시공사 등이 참여하며 박사급 연구위원 2명과 석사급 전문연구원 1명을 새로 배치해 RE100 도시 구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주요 과제로는 정부의 RE100 산단 조성 추진, 영농형 태양광 연계 기업 지원, 도심형 태양광 확산,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분산특구 지정 등이 포함된다.
광주는 내륙도시 특성상 재생에너지 생산이 제한적이지만 인근 전남지역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정부가 추진하는 RE100산단의 최적지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선언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에 참여하는 지역 기업 10곳이 참여했으며 태양광 2.5㎿, 풍력 105㎾를 통해 2026년 말까지 한 기업은 RE100, 나머지 9곳은 RE30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세미나에서는 한국에너지공단 장승찬 본부장과 광주연구원 박동원 실장이 각각 '광주 재생에너지 확산 방안'과 '정부 RE100 정책과 대응전략'을 발표하며 광주형 에너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광주시는 전국 특·광역시 중 태양광 발전 보급률 1위를 기록 중이며 향후 산업단지 내 RE100 실현, 기업지원 확대 서남권과의 에너지 연계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 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AI, 모빌리티, RE100은 광주·전남의 미래 산업을 이끌 핵심축"이라며 "광주RE100 추진본부가 민·관 협력의 중심이 되어 광주형 RE100 모델을 대한민국 대표 에너지 자립도시의 기준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