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등록된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평가한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결과를 31일 공개했다.
시공능력평가는 발주자가 적정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실적·경영상태·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 평가하는 제도다. 올해 평가를 신청한 건설업체는 모두 7만3657개사로 전체 건설업체(8만7131개사)의 84.5%다.
올해 토목건축공사업체 시공능력평가 1~3위는 순위 변동이 없었다. 삼성물산이 34조7219억원으로 2014년 이후 1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현대건설이 17조2485억원으로 2위, 대우건설이 11조8969억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DL이앤씨는 11억2183억원 4위로 전년도(5위)보다 1순위 올랐다. GS건설도 10조9454억원으로 지난해(6위)보다 1순위 상승한 5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4위였던 현대엔지니어링(6위)의 시공능력 평가액은 10조1417억원으로 순위가 두 단계 내려왔다.
시공능력 7~10위도 지난해와 순위 변동이 없었다. 포스코이앤씨(9조8973억원) 롯데건설(7조4021억원) SK에코플랜트(6조8493억원) HDC현대산업개발(5조8738억원)이 10위권에 포진했다.
한화(4조9720억원) 호반건설(3조9209억원) DL건설(3조5495억원) 두산에너빌리티(3조3931억원)는 11~14위를 기록했다. 15위 계룡건설산업(2조9753억원) 16위 서희건설(2조8774억원)은 각각 두 계단씩 상승했고 18위 코오롱글로벌(2조4944억원)은 한 계단이 상승했다.
17위 제일건설(2조6948억원)은 지난해 15위에서 내려갔다. 19위 태영건설(2조3296억원) 20위 KCC건설(2조3174억원)은 각각 5개 순위가 올라갔다.
두산건설(1조8406억원)은 지난해 32위에서 올해 25위로 올랐고 호반산업(1조4589억원)은 35위에서 31위로 상승했다. 삼성E&A(1조3479억원)도 46위에서 36위로 상승했다.
올해 시평 결과는 다음 달 1일부터 적용된다. 이를 기준으로 공사발주 시 입찰자격 제한과 시공사 선정이 가능하다. 신용평가와 보증심사에도 활용된다. 개별 건설업체에 대한 세부 평가 결과는 이날 오전 11시 건설 관련 협회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