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에서 세 번쨰)가 8일 도청에서 열린 '경기도 사회복지 종사자 간담회'에서 도민을 대표해 감사의 뜻을 전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사회복지사 처우 개선 문제를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통합에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8일 도청에서 김 지사와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임원 16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복지 종사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서로 소통하며 현장의 애로사항을 직접 듣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박찬수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회장을 비롯해 16명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대표가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할 일이 많고 갈 길이 먼데 그중에서 제한된 재원의 범위 내에서 어떤 것들이 급하고, 어떤 걸 로드맵으로 세우고 단계적으로 가야 할지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2017년 이후 동결된 처우개선비 인상과 지원 대상 확대, 종사자 채용 시 호봉 제한 폐지, 아동그룹홈 시설장 경력 100% 인정 및 정년 특례 적용, 학교사회복지사업 인력의 체계적인 지원 등 다양한 현장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김 지사는 "대화 채널을 만들어 가장 급한 것부터 목표를 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내년도 예산에 넣도록 하겠다"고 화답했다.


경기도는 도내 사회복지시설과 사회복지사업 수행기관 종사자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해 2016년도부터 처우개선비를 도비 100%로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3377곳 2만6896명의 종사자에게 월 5만원씩 지원하는 등 처우개선비 예산 161억원을 편성했다.

그러나 처우개선비 인상과 지원대상 확대, 시설장 경력 100% 인정 등의 건의사항에 대해서는 재정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시군 등과 지속해 협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