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뉴스1에 따르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를 받는 김 전 단장은 이날 오전 9시9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냈다. 김 전 단장은 '(윤석열) 대통령 지시로 박정훈 대령 수사했나'라는 취재진 질문에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 수사에 대한 부분은 제가 전적으로 결정했고 후배 군검사들은 묵묵히 저를 따라줬다"면서 "모든 책임 질 일은 제가 다 책임지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밖에 '박정훈 대령 집단항명수괴 혐의 입건은 스스로 결정한 것이라는 입장에 변함없나'라는 질문에는 "수사에 관한 것은 전적으로 제가 다 결정한 것이 맞다"고 답한 후 조사실로 이동했다.
특검팀은 이날 김 전 단장을 상대로 해병대수사단이 경찰로 이첩한 수사기록을 회수한 경위, 국방부조사본부(이하 조사본부)에서 해당 기록물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이뤄진 논의 내용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순직사건 초동수사를 지휘한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을 집단항명수괴 혐의로 입건해 수사를 벌인 배경과 그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 등도 함께 물어볼 전망이다.
김 전 단장은 2023년 8월2일 해병대수사단이 순직사건 수사기록을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이후 국방부검찰단 내부 회의를 열고 박 대령을 집단항명수괴 혐의로 입건하는 한편, 경북청으로 넘어간 수사기록을 회수하는 것을 지휘한 인물이다.
그는 2023년 8월9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지시로 조사본부가 사건기록 재검토를 시작한 이후부터 국방부 내부회의에 참여하며 재검토 과정에 개입하기도 했다.
당초 조사본부는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장 등 6명을 혐의자로 판단한 중간보고서를 작성했지만 총 6차례에 걸쳐 보고서 수정해 대대장 2명만 혐의자로 적시한 재검토 결과를 경북청에 재이첩했다.
특검팀은 지난 7일과 11일 재검토 과정에 참여한 조사본부 관계자들을 연이어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하며 국방부로부터 임 전 사단장을 혐의자에서 제외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