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20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역사 내란' 발언에 대해 "굳이 따지자면 진짜 역사내란은 광복절에 윤미향 전 의원을 사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사진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국힘 전남도당위원장 취임식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시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역사 내란' 발언에 대해 분노했다.

20일 한 전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청래 대표가 1948년 8월15일에 대한민국이 건국됐다고 말하면 '역사내란'이라고 하고 있다"며 "굳이 따지자면 진짜 역사 내란은 광복절에 윤미향 전 의원을 사면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 전 대표는 "1919년과 1948년의 8월15일 둘 다 자랑스러워하면 된다. 저는 둘 다 가슴 뛰도록 자랑스럽다"며 "1948년 8월15일 국제법상 당당히 인정받는 대한민국을 건국한 이승만 대통령도 임시정부 법통을 자랑스러워했다"고 밝혔다. 이어 "1948년 8월15일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기념사는 이렇게 마무리된다. '대한민국 30년 8월15일 대통령 이승만'"이라며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을 대한민국의 시작이라고 본 것이다. 김대중 대통령은 1998년에 1948년을 건국으로 보고 건국 50주년을 기념했다"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는 "1919년 건국을 말하는 사람들과 1948년 건국을 말하는 사람들이 내세우는 맥락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으니 여당 대표가 '역사내란' 운운, 핏대 세우며 국민 가르치고 훈계하려 들면 우스워진다"며 "그런 갈라치기 할 시간에 경제 챙기고 외교 구멍 안 나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대표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1948년 8월15일 정부수립일을 건국절로 하자는 논란은 아직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건 역사 왜곡이자 헌법전문·헌법정신 부정"이라며 "초대 이승만 대통령조차 1948년 9월1일 제1호로 발행한 관보에서 대한민국 30년, 9월1일로 명확히 규정했다. 이를 부정하는 것은 '역사 내란'"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