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공단에 따르면 지난 2월24일 취임하며 3년 임기를 시작한 김 이사장은 ▲중앙노동위원회 근로자위원 ▲임금채권보장심의 위원회 근로자위원 ▲최저임금위원회 근로자위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상임부위원장 ▲한국공공사회산업노동조합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경력의 대부분이 근로자위원 출신 노동전문가로 채워졌지만 산업재해와 관련된 전문성은 찾아볼 수 없다.
산재 예방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김 이사장은 취임사를 통해 "공단이 현장 중심의 산재예방 전문기관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며 "중대재해 감축을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 세계 제일의 K산업안전보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김 이사장은 이 같은 다짐과 함께 공단을 이끌었지만 취임 반년 동안 각종 산재 사망사고가 끊이질 않았다. SPC 삼립공장, 현대엔지니어링, 서부발전 태안화력발전소, 포스코이앤씨, DL건설, 도로 맨홀 아래 오수관로 유독가스 질식 등 사망사고 업종과 장소도 다양하다.
지난 13일에는 코레일과 '안전한 일터 만들기'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지만 불과 6일 뒤 철도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 7명이 열차에 치였고 2명이 사망했다.
김 이사장은 지난 7월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근 잇따른 근로자 사망사고가 전형적인 후진국형 재해라며 사고 예방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일터는 근로자들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장소"라며 "삶을 영위하러 나왔다가 목숨을 잃는 것은 정말 비극적인 일"이라고 했지만 잇따른 사망사고에도 뚜렷한 예방 대책 등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잇따른 근로자 사망사고에 대해 지난 5월 취임 이후 산업재해만 9번이나 언급하며 심각성을 주지시켰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현안 질의에 출석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고개를 숙였지만 김 이사장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산재 예방 전략 등을 수립해 고용노동부와 함께 근로자 안전 일터 조성과 사고 예방 대책 등을 실행해야 할 준정부기관인 공단의 수장이지만 책임은 다하지 못한 채 자리만 지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단 이사장은 고용노동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그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국이 혼란한 틈에 올 초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명한 인사인 만큼 정권 말 '알박기 인사'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밖에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으로 활동하다 지난해 4월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 사임한 전력도 있어 근로자 안전을 책임질 공단 이사장 자격 적절성 논란도 여전하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