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권한슬 스튜디오프리윌리전 대표가 "인공지능(AI) 영화는 기존 실사 영화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며 "고 "2년 안에 실사와 완벽히 구분되지 않는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27일 경북 경주 힐튼호텔에서 말했다.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에서 민간 전문가 자격으로 참석한 권한슬 대표는 제1회 두바이 국제 AI 영화제에서 '원 모어 펌킨'(One More Pumpkin)으로 대상을 받았으며 스튜디오프리윌리전에서 AI 관련 영상을 계속 제작하고 있다.
권 대표는 AI 영화가 기존 영화의 문법에서 벗어나 독자적 장르로 자리를 잡았으며 AI 창작은 감독처럼 수백 차례 디렉팅 과정 거친다고 밝혔다.
그는 "AI를 활용한 창작은 단순히 기계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창작자의 기획과 수백 차례의 시도를 통해 완성된다"며 "프롬프트 수정, 카메라 앵글, 무드, 조명, 움직임까지 일일이 디렉팅하는 과정이 실제 감독의 역할과 같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AI 영화계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이끌고 있다. 권 대표는 "최근 국내 AI 영화 수준은 글로벌에서도 높다. 한국은 AI 영화제를 가장 활발히 여는 국가이며, 남녀노소 누구나 AI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신인 창작자는 기회를 얻고, 기존 업계는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권 대표는 AI영화가 2년 이내에 실사 영화와 구분 어려운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튜디오프리윌리전은 AI 아티스트와 테크니컬 아티스트 등 신규 직군 약 60명을 채용했다. 권 대표는 "이 직군이 창출된 지 불과 1년 남짓이지만 이미 신산업의 기반이 마련됐다"며 "AI는 실사와 구별되지 않는 장면을 구현할 정도로 발전 속도가 빠르며, 2년 안에 완벽히 구분되지 않는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 대표는 "사실처럼 만드는 것보다 AI가 보여주는 독창적 미학이 중요해질 것"이라며 "경제적 측면에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CG를 대체하는 등의 확장성에서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AI 영화는 실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AI만의 미학과 세계관을 보여주는 새로운 장르로, 전 세계 영화제에서 AI 영화 부문이 생기는 배경도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