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홈플러스 사태를 촉발한 MBK파트너스에 대해 현장조사에 나섰다. 사진은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홈플러스 먹튀 강행 MBK 규탄 대규모 폐점 철회 촉구' 기자회견./사진=뉴시스
금융당국이 홈플러스 사태를 촉발한 MBK파트너스(MBK)에 대해 현장조사에 나섰다.

2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당국은 지난 3월 MBK를 검사하고 4월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넘긴지 4개월여 만에 추가 조사에 착수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서울 광화문 MBK 본사에 조사 인력을 보냈다.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기관출자자(LP) 모집이나 차입매수(LBO) 과정에서 불공정거래 행위가 있었는지 보는 것으로 전해진다.


당국은 긴급조치로 이번 사건을 검찰로 넘긴 바 있다. 홈플러스·MBK파트너스 경영진이 신용등급 하락을 알고서도 대규모 단기채권을 팔아 투자자 손실을 낳았다고 본다. 이 과정에서 금감원은 MBK가 홈플러스 회생 계획을 사전에 기획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는 검찰 수사가 늦어지면서 제재 부과가 너무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이찬진 금감원장 의중과 맞물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원장은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 활동 시기인 2021년 MBK에 대한 국민연금 투자를 문제삼았다.

당시 그는 MBK에 대해 "전형적으로 인수 후 구조조정하고 재매각하는 전문 업체인 거 같다"며 "ESG 투자를 지향한다는 국민연금이 이런 투자를 다시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참여연대 정책자문위원장 자격으로 참석한 기자회견에서도 "국민연금이 MBK에 투자하거나 위탁운용사로 선정하는 것은 국민들에 대한 배임행위"라고 비판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홈플러스 15개 점포 폐점 발표에 대통령실이 MBK 제재조치 현황 파악에 나서면서 추가 검사에 영향을 줬을 것이란 해석도 뒤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