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가 지난 28일 시청 강당에서 아동·청소년이 직접 지역 현안을 발굴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제7회 아동·청소년 정책한마당' 본선 대회를 가졌다.
이번 대회는 아동·청소년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지난 7월 총 11개 팀(37명)의 제안서를 접수했으며 예선 심사를 거쳐 5개 팀(18명)을 본선에 진출시켰다.
본선 진출자들은 3일간의 온라인 워크숍과 전문가 멘토링을 통해 제안서를 보완한 뒤 이날 무대에서 최종 발표를 진행했다.
심사는 논리상, 미래상, 실현가능상, 재치상, 혜택상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졌다. 논리상에는 더플로우 팀의 '청소년의 일상에 예술문화를 ON! 영주를 UP'!이 선정됐고 미래상은 DPN 팀의 '청소년 복지 환급제도'가 차지했다. 실현가능상은 리본(re;born) 팀의 '빈집을 지역 문화공간으로'가, 재치상은 진로내비 팀의 '영주도전 꿈을 실현하는 기업탐방'이, 혜택상은 요아정 팀의 'AI 활용 지역 문화유산 활성화 정책'이 받았다.
현재 영주시는 지난 2019년부터 정책한마당을 통해 미세먼지 신호등 설치, 사각지대 CCTV 확충, 가로등 신규 설치 등 아동·청소년의 제안을 실제 정책으로 반영해 왔다.
정경숙 영주시 아동청소년과장은 "이번 정책한마당을 통해 아이들이 지역사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아동·청소년이 시정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