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머니S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8월29일 오전 9시50분쯤 전남 무안군 삼향읍 전남도청 인근 저수지에서 30대 도청 공무원 A씨가 물에 빠져 숨진 채 발견됐다.
A씨는 사고 전날 동료들과 회식을 한 뒤 귀가 과정에서 행방이 묘연해졌고 자택과 반대 방향인 도청인근 저수지(남악 호수)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 경찰조사 결과 A씨는 외상 등 뚜렷한 타살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런데 경찰 수사가 난항을 겪고 있다. 도시공원으로 분류되는 저수지 주변에 안전 감시를 위한 그 흔한 CCTV 조차 설치돼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A씨가 발견된 저수지의 나무 울타리가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이 머니S취재 결과 드러났다.
A씨가 발견된 저수지 인근은 시민들의 출입을 막기 위한 구조물이 작은 나무를 식재한 플랜트 화단으로 이뤄졌으며 일부는 이마저도 나무가 죽어 사람 출입이 가능한 상황이다.
특히 야간에는 저수지 인근 주변 조명이 약해 시민들이 보행에 불편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관리감독기관인 전남도의 저수지 관리 등 안전불감증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와 관련해 전남도 관계자는"도시공원 등에 관한 법률에는 안전을 위한 조치를 하게 끔 돼 있지 '울타리를 얼마 만큼 쳐라' 등 명확한 기준을 정해 놓은 것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군데 군데 펜스가 쳐져 있는 곳은 낙하 위험이 있는 곳이다. 폴리스라인이 쳐진 사고 지점을 제외한 다른 구간은 안전점검을 매일 하고 있다"면서 "더 이상 동일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설보완을)검토를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