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신세계그룹은 중국 알리바바와 손잡은 JV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거래액 50조원대의 쿠팡과 40조원대의 네이버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이번에 출범한 지마켓·알리익스프레스 연합의 거래액은 합산 20조원 안팎이지만 해외직구 시장 점유율 41%와 5000만 가입자를 앞세워 양강 구도에 균열을 일으킬지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그동안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쿠팡의 압도적인 물류 시스템을 중심으로 재편돼 왔다. 신세계-알리바바 연합은 '초저가'와 '글로벌 상품 다양성'을 핵심 무기로 시장 판도를 바꾸겠다는 전략이다. 쿠팡이 '속도'로 승부를 걸었다면 이들은 가격'과 상품이라는 가치로 소비자를 공략한다. 셀러의 다양성 면에서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가 경쟁 우위에 있지만 JV는 해외직구와 역직구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해외직구 시장에서는 알리익스프레스(37.1%)와 G마켓(3.9%)이 합산 점유율 41%로 1위 자리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 공정위가 결합 이후 양사의 점유율이 더 높아질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판단한 만큼, 업계에서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
승부의 열쇠, 'G마켓 60만 셀러'와 '소비자 전환' 가능성━
한 업계 관계자는 "G마켓은 1세대 오픈마켓으로서 업력이나 다양성 면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셀러를 보유하고 있어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G마켓의 60만 셀러는 신세계-알리 연합의 가장 큰 자산으로, 이들을 알리바바의 글로벌 유통망에 연결해 '역직구' 시장을 확대하는 것 역시 중요한 시너지 포인트다.
또 다른 관계자는 "소비자가 현재는 쿠팡에 락인되어 있지만, 언제든 선택을 뒤집을 수 있는 게 소비자"라며 "저렴한 가격에 양질의 글로벌 상품을 접할 수 있다면 G마켓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여기에 알리바바의 첨단 AI 기술을 더해 고객 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는 '초개인화 쇼핑' 경험 또한 합작법인의 주요 강점이다.
다만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공정위의 결정에 따라 3년간 양사의 데이터 결합이 차단돼 당장의 시너지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두 거대 기업의 이질적인 조직 문화를 통합하는 문제와 중국 플랫폼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을 어떻게 극복하고 신뢰를 쌓을 것인지도 성공을 위해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다.
신세계 관계자는 "공정위가 합작법인을 승인한 만큼 TF팀을 중심으로 최대한 빨리 후속 작업을 완료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