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공정위 발표에 따르면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의 JV는 양사의 고객정보 및 데이터 관리에 대한 '자진시정 조치'를 기반으로 최종 승인됐다. 이는 양사가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견고히 정비하고 지식재산권 보호 시스템을 최고 수준으로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데 따른 것이다.
이번 JV 출범은 국내 셀러들의 해외 판로 확대를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JV는 "한국 셀러들의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해 우수한 '한국 상품'의 해외 판매를 늘리겠다"며 "양사 협력을 통해 고객에게는 상품 선택의 폭을 넓히고 첨단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정위 승인에 따라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는 즉각 JV 조직 구성과 이사회 개최, 사업 계획 수립 등 실무 작업에 착수했다. JV는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를 자회사로 두고 각각 독립적인 운영 체계를 유지하면서 유기적으로 협업하게 된다.
━
60만 G마켓 셀러, 동남아 5개국으로 첫발━
JV 출범에 따라 G마켓은 약 60만 G마켓 셀러의 해외 진출을 위한 준비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G마켓 셀러들은 올해 안에 알리바바의 글로벌 플랫폼에 입점해 해외 고객들에게 약 2천만 개에 달하는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품 대부분이 국내 중소기업 제품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수출 효과가 기대된다.첫 진출 지역은 K팝과 한국 상품에 대한 인기가 높은 동남아시아 5개국(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이다. 이후 유럽, 남아시아, 남미, 미국 등 알리바바가 진출한 200여 개 국가 및 지역으로 판로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셀러들은 상품 등록뿐만 아니라 통관, 물류, 현지 배송 및 반품, 고객 관리 등 모든 과정에서 체계화된 시스템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G마켓 셀러들은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상품 코너에도 입점해 판매 채널을 늘릴 예정이다. 알리익스프레스의 'K-Venue' 채널은 올해 7월 거래액이 1년 전보다 290% 이상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이번 JV 설립을 계기로 '질적 성장'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3~5일 내 해외 직구 배송 서비스' 등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지식재산권 침해 방지를 위해 한국무역관련지식재산권보호협회(TIPA)와 협력하는 등 '책임 있는 성장'에 주력하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신세계그룹 및 G마켓과의 협업을 통해 한국 내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소비자 편익을 더욱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G마켓은 알리바바의 첨단 기술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소비자 경험과 셀러 지원 혁신을 꾀한다. G마켓 고객들은 알리바바의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인 쇼핑 어시스턴트를 통해 24시간 맞춤형 상품 추천 및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초개인화 쇼핑' 경험이 될 전망이다.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는 고객 개인정보 보호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양사는 고객 데이터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G마켓과 알리바바 플랫폼이 연계되더라도 분리된 시스템으로 고객 및 셀러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할 방침이다.
JV는 "경영진 구성과 구체적인 사업 계획 수립이 완료되는 대로 고객과 셀러들에게 비전을 밝히는 자리를 가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