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프=한국CXO연구소
2020~2024년 국내 주요 4대 그룹의 고용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과 현대자동차는 2020년 이후 고용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지만 LG와 SK 그룹의 작년 직원수는 지난 2020년 때보다 오히려 낮아졌다.

18일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4대 그룹의 지난해 전체 고용 규모는2020년 69만8526명에서 2021년 71만8035명, 2022년 74만4167명, 2023년 74만5902명, 2024년 74만6436명으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20년 대비 2024년 고용은 4만7910명 늘었으며 고용 증가율은 6.9% 수준이다.


그룹별 고용 희비는 엇갈렸다. 삼성과 현대차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고용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지만 LG와 SK는 줄었다.

삼성은 2020년 국내 계열사 전체 직원수가 26만2126명에서 2024년 28만4761명으로 2만2635명(8.6%) 증가했다.

삼성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일자리를 늘리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공시 기준 지난해 삼성 계열사 가운데 1만명 이상 직원 수를 보유한 곳은 ▲삼성전자(12만3411명) ▲삼성디스플레이(2만1242명) ▲삼성SDI(1만3122명) ▲삼성물산(1만2237명) ▲삼성전기(1만2200명) ▲삼성SDS(1만1426명) ▲삼성중공업(1만1426명) 등 7곳이다.


같은 기간 현대차는 16만6925명에서 지난해 20만3915명으로 3만6990명이 늘었다. 증가율은 22.2%로 4대그룹 가운데 가장 높았다.

반면 LG는 2020년 15만4633명이던 직원 수가 지난해 14만9459명으로 줄었다. 고용 감소율로 보면 3.3% 수준이다.

SK도 이 기간 전체 직원 수가 11만4842명에서 10만8301명으로 6541명(5.7%↓)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