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G유플러스·SK텔레콤 등 통신 3사와 정부 주요 연구기관에서 보안 사고가 잇따르고 있지만 보안 전문 인력 양성은 연간 40명 수준에 불과하다.
이정헌(더불어민주당·광진갑) 의원이 지난 23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추진하는 '융합보안 핵심 인재 양성 지원사업'을 통해 고려대·성균관대·한양대 ERICA 등 8개 대학에서 배출되는 인력은 2019년부터 올해까지 총 325명에 그쳤다. 연평균 40.6명 수준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확산으로 늘어나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학에 연간 8억~1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하고 있다. 융합보안대학원으로 선정된 대학은 최대 6년간 55억 원, 정보보호특성화대학은 27억 원을 지원받는다. 예산은 줄어드는 추세다. 2022년 58억원, 2023년 68억원에서 지난해 88억원까지 늘었으나 올해는 62억원으로 줄었다.
통신 3사를 넘어 국가 연구기관까지 해킹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S&T-CSC)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소속 2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발생한 사이버 공격 시도는 2776건에 달했다.
기관별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28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41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09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39건 등 9개 기관에서 100건 이상 공격을 받았다. 이들 기관이 국가 첨단기술과 직결되는 만큼 사이버 공격이 성공할 경우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과 안보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 의원은 "통신사뿐 아니라 국가 주요 기관에 대한 전방위적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며 "통신 인프라를 포함해 행정부·연구 기관· 민간 기업까지 총망라하는 사이버 보안 체계의 대대적 재정립을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